David Chang is having his seventh solo exhibition at EMOA SPACE GALLERY located in the Chelsea Gallery District of Manhattan, New York City. Chang is well known for his expressions of converg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using colors he sourced from his memories. This time, however, he will be presenting the “Consilience Series,” a new theme he has been exploring since 2010. The term “consilience,” which was adopted from and is the main concept of The 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 by William Whewell, refers to the underlying unity among things that appear diverse on the surface.
Based on his rich experience with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Chang has been devoted to reconstructing his memories with colors, through which he conveyed their transcendental vitality. In his previous works, the “Color in Memory” series, he employed the basic color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s of each culture and cleverly arrange them in a balanced manner. Then he applied a multiple point perspective to the overlapping natural colors of both cultures, thus expressing the circulation of colors. The result was the vanishing point of memories that penetrate both the East and West, which differs from perspectives adopted in existing figurative arts and clearly make Chang’s work stand out from others.
In his Consilience Series of 2012, Chang introduces new elements, rice paper and palettes, and by fragmenting them, he attempts at convergence in terms of material properties as well. The fragmented palettes shown in the Consilience Series #1 and #2 are clumps of paint that were formed unintentionally when Chang was working on “Color in Memory.” In respect to contingency, the palette pieces display greater density than other Abstract Expressionist art work. After breaking up these palettes, Chang arranged them to form a multiple point perspective so that the layers of memories coexist. By doing so, he not only expressed the transcendent concept of time within the same canvas, but also achieved synchronism in a physical form.
In Consilience Series #3 and #4, we witness the encounter between rice paper, the representative material of eastern art, and its western counterpart, the canvas. This adds greater weight to the convergence of the eastern and western worlds. Chang attached painted rice papers to the canvases with wood glue, which turns the unpainted areas of the rice paper translucent so that it shows the ground color of the canvas. In his work, Chang repeats the process of combining colors from his memories and fragmenting them to describe the free circulation of colors and their transcendent vitality. By constantly experimenting with colors and seeking ways to express their transcendental values, he is creating a “language of color” that allows consilience on the universal level. This exhibit shows both Chang’s works of 2011 and 2012, which are displayed in an order that effectively narrates how his work has developed.
통섭 시리즈라는 주제로 뉴욕 맨해튼 첼시 지역에 소재한 이모아 스페이스 갤러리에서 장대현(David Chang)의 7번째 개인 전시회를 개최한다. 동서양의 융합을 기억속의 색으로 표현해온 그는 2011년부터 실험해온 새로운 통섭 시리즈를 선보인다. 통섭이란 어휘는 훼휄(William Whewell)의 ‘귀납적 과학철학’(The 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 에서 나오는 주요 개념으로 겉보기에 다양해 보이는 것의 밑바닥에 깔린 근본적 통일성을 말한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권에서 다양한 체험을 해온 그는 기억을 색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색이 갖는 초월적 생명력을 이야기해왔다. 그는 동서양의 근간이 되어온 색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색을 다시점 원근법으로 색체의 순환과정을 표현해왔다. 이것은 기존의 재현 회화가 갖는 원근법과 달리 동양과 서양을 관통하는 기억의 소실점이라는 점에서 다른 작품들과 명확히 차별된다.
그는 2012년도의 ‘Consilience Series’ 신작에 새로이 등장하는 화선지와 팔레트를 파편화 시키는 작업을 통해 물성의 차원에서도 융합을 시도하였다. Consilience Series #1과 #2에서 등장하는 파편화된 팔레트는 그동안 기억속의 색 시리즈 작업을 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만들어진 물감덩어리들의 결합이다. 이것은 우발성의 측면에서 기존의 추상표현 회화의 방식보다 더 밀도가 높다. 밀도높은 팔레트를 파편화시킨 후 다시점 원근법으로 배치시킴으로써 기억의 층위들을 공존시킨다. 그럼으로써 캔버스라는 한 공간 안에 초월적 시간 개념을 표현했을뿐 아니라 물리적 형태로도 공시성(synchronism)을 획득하고 있다.
Consilience Series #3와 #4는 동양의 대표적 재료인 화선지와 서양의 대표적 재료인 캔버스가 마주치면서 동서양의 융합에 힘을 더한다. 채색된 화선지를 캔버스에 접합시킬때 우드글루를 사용하는데 붓이 지나가고 남은 여백이 우드글루와 만나 투명성을 띄면서 캔버스의 바탕색과 동일해진다. 그는 기억속의 색을 결합시키고 파편화시키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색의 자유로운 순환을 통해 초월적 생명력을 갖는 색을 이야기한다. 또한 초월적 색의 표현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시도하면서 범세계적 차원으로 통섭이 가능한 색의 언어를 만들어가고 있다. 본 전시에서는 2011년도 작품과 2012년 작품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작업의 발전과정이 내러티브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